본문 바로가기
금융 정보 가이드

【청년도약계좌】2025년 6월 출시|월 70만 원 저축으로 5천만 원 모으는 방법 총정리

by twinky 2025. 5. 22.
반응형

청년도약계좌 6월 출시! 5천만원 모으는 비결

청년 자산형성의 새로운 돌파구, 청년도약계좌가 6월부터 본격 출시됩니다. 정부가 최대 월 2만 4천 원까지 지원해주며, 5년간 최대 5천만 원의 목돈 마련이 가능한 절호의 기회입니다.

 

청년도약계좌란?

청년도약계좌는 만 19~34세 청년이 매달 일정 금액을 적립하면 정부가 기여금을 매칭해주는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.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 가능하며, 5년 만기 시 5000만 원 안팎의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.

 

 

가입조건과 지원금

  • 연령: 만 19세 ~ 34세
  • 개인소득: 연 6,000만원 이하
  • 가구소득: 중위소득 180% 이하
  • 정부기여금: 월 최대 2만4천원 (소득 구간별 차등 적용)
  • 병역이행자: 복무기간 최대 6년 차감 인정

예시로, 연 소득이 2,400만원인 청년이 월 40만원을 납입하면, 6% 매칭 비율로 정부 지원금 2만4000원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금리와 이자혜택

가입 후 3년간 고정금리가 적용되며, 이후 2년간은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. 저소득층에게는 우대금리가 추가로 적용될 수 있으며, 모든 이자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이 주어집니다.

 

 

가입방법과 시기

  • 가입 시작: 2025년 6월 중
  • 가입 방법: 취급기관(은행 등) 앱을 통한 비대면 신청
  • 소득 기준: 2021년 또는 2022년 과세기간 기준
  • 기여금은 매년 개인소득 현행화 후 재산정

중도해지 시에도 사망, 질병, 퇴직, 주택 구입 등 사유가 인정되면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은 유지됩니다.

 

 

자주 묻는 질문 (Q&A)

Q.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중복 가입이 되나요?
A.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순차적으로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가능합니다. 동시에 가입은 불가합니다.
Q. 정부 지원금은 무조건 받을 수 있나요?
A.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기준을 충족할 경우 소득구간별로 차등 지급됩니다. 고소득자는 정부기여금 없이 비과세만 적용됩니다.
Q. 우대금리는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A. 연 소득 2400만원 이하 등 저소득 청년에게 취급기관과 협의를 통해 별도 우대금리를 적용할 예정입니다.

마무리 및 신청 팁

청년도약계좌는 단순한 적금이 아니라, 정부와 함께하는 청년 자산형성 프로젝트입니다. 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혜택이 주어지고, 비과세 혜택까지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놓치면 후회할 수 있는 금융상품입니다.

만약 가입 대상에 해당된다면, 6월 출시 전에 미리 소득증빙자료와 가구소득 조건 등을 확인해두세요. 매월 앱으로 신청 가능하니 편리한 비대면 가입도 가능합니다.

 

728x90
반응형